• 2025. 10. 15.

    by. productioncrew352

    서울시 신혼부부 최대 100만원 지원! 혼수와 살림 비용까지 한 번에 받는 법

     

     

    신혼부부, 재혼부부 최대 100만원 지원!

     

     

     

    결혼을 앞두고 있는 예비 신혼부부라면, 요즘같이 모든 물가가 치솟는 시기에 한 푼이 아쉬울 수밖에 없습니다.

    특히 혼수 준비, 예식장 예약, 신혼여행 등 결혼에 필요한 비용만 해도 상당하죠.

    그런데 이런 부담을 조금이나마 덜어줄 수 있는 반가운 소식이 있습니다.

    바로 서울시에서 신혼부부를 대상으로 결혼·살림비용을 최대 100만원까지 지원하는 사업을 시작했다는 것입니다.

    2025년 하반기부터 본격 시행되는 이 정책은

    서울시에 거주하는 신혼부부 중 일정 요건을 충족한 경우라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으며,

    혼수, 가전, 가구 등 실질적인 살림 비용을 지원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실속 있는 제도라 할 수 있습니다.

     

     

     

    그럼 지금부터, 서울시 신혼부부 결혼·살림비용 지원사업에 대해 자세히 알려드릴게요!

     

     


     

    서울시가 왜 이런 지원을 시작했을까?

     

     

     

    최근 몇 년간 결혼을 미루거나 포기하는 청년들이 늘고 있습니다. 주요 원인은 단연 '경제적 부담' 때문이죠.

    혼인 신고 이후 실질적인 생활 기반을 마련하는 데 드는 비용이 생각보다 크기 때문입니다.

    이에 서울시는 결혼을 결심한 신혼부부들의 실질적인 부담을 줄이기 위해, 혼수부터 신혼살림 장만에 필요한 비용 일부를 최대 100만원까지 지원하는 제도를 마련하게 된 것입니다. 단 한 번, 생애 1회만 신청할 수 있는 기회이기 때문에, 대상이 된다면 절대 놓치지 말아야 할 혜택입니다.

     

     

    신혼부부, 재혼부부 최대 100만원 지원! 신혼부부, 재혼부부 최대 100만원 지원! 신혼부부, 재혼부부 최대 100만원 지원!

     

    지원 대상: 나도 받을 수 있을까?

     

     

     

    이 정책은 다음 세 가지 조건을 모두 충족해야 신청이 가능합니다.

     

    1. 혼인신고일 기준 요건

    • 2025년 7월 14일 이후 혼인 신고를 한 부부
      • 초혼, 재혼 모두 포함됩니다.
      • 단, 사실혼은 제외되며, 반드시 법적으로 혼인 신고를 완료한 경우여야 합니다.

    2. 서울시 거주 요건

    • 부부 중 1인 이상이 서울시에 180일 이상 거주 중이어야 합니다.
    • 신청일 기준으로도 거주 중이어야 하며, 신청일 포함 180일 이상 거주 요건이 충족되어야 합니다.

    3. 소득 요건

    • 중위소득 120% 이하인 가구만 신청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2025년 기준 월소득 기준은 아래와 같습니다.
      • 2인 가구: 4,719,190원
      • 3인 가구: 6,030,424원
      • 4인 가구: 7,317,328원
        소득은 혼인 신고한 배우자와 미성년 자녀까지 포함하여 계산합니다.

     

    이외에도, 부부 중 한 명 이상은 대한민국 국적이 있어야 하며, 외국인의 경우도 배우자가 한국인이라면 신청이 가능합니다.

     

     


     

    어떤 항목을 지원받을 수 있나요?

     

     

    이번 지원은 단순한 현금 지원이 아니라, 혼수 및 살림 장만에 실제로 사용된 비용을 증빙하여 환급받는 방식입니다.

    다음과 같은 항목들이 지원 대상에 포함됩니다.

    예식 관련 항목

    • 예식장 사용료
    • 신혼여행 경비
    • 청첩장 인쇄비 등

    가전제품

    • 냉장고, 세탁기, 건조기, TV, 공기청정기, 에어컨
    • 전기밥솥, 전자레인지, 인덕션, 정수기 등

    주방 및 생활용품

    • 냄비, 프라이팬, 칼·도마, 식기세트
    • 커피머신, 토스터기, 믹서기
    • 침구류(이불, 베개, 커버세트), 커튼, 블라인드 등

    가구류

    • 침대(매트리스 포함), 소파, 책상, 옷장, 서랍장
    • 식탁, 의자, 신발장, 수납장 등

    📌 단, 스드메(스튜디오, 드레스, 메이크업) 비용이나 서울시 공공예식장 ‘더 아름다운 결혼식’의 비품비 지원을 이미 받은 경우는 중복 신청이 불가합니다.

     

     

    신혼부부, 재혼부부 최대 100만원 지원! 신혼부부, 재혼부부 최대 100만원 지원! 신혼부부, 재혼부부 최대 100만원 지원!

     

    신청 방법과 일정은?

     

     

    신청 기간은 아래와 같습니다.

    • 2025년 10월 13일(월) 오전 9시부터 10월 24일(금) 자정까지, 총 12일간 진행됩니다.

    신청은 서울시 ‘몽땅정보 만능키’ 누리집(umppa.seoul.go.kr)에서 온라인으로 접수하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사이트 접속 후 로그인
    2. 신혼부부 결혼·살림비용 지원 신청 메뉴 선택
    3. 기본 정보 입력 및 구비서류 업로드
    4. 자격 검토 및 보완 요청
    5. 지원금 지급 결정 후, 2025년 12월 중 해당 자치구에서 개별 통보

     


     

    꼭 챙겨야 할 제출서류는?

     

     

    다음 서류는 필수 제출 항목입니다.

     

    • 혼인관계증명서 (접수증은 인정되지 않음)
    • 배우자의 행정정보 공동이용 사전동의서
    • 지원 항목이 명시된 구매 영수증 및 구매내역서
    • 가족관계증명서 (자녀가 있을 경우, 주민등록번호 뒷자리 포함)

    ※ 신청일 기준 1년 이내 구매한 내역만 인정되므로, 최근 영수증만 유효합니다.

     


     

    몇 명이나 받을 수 있을까?

     

     

    서울시는 총 1,000가구를 대상으로 해당 혜택을 지원할 예정이며, 지원금 총액은 10억 원 규모입니다.

    만약 신청자가 많을 경우 다음 기준에 따라 우선순위가 정해집니다:

     

    1. 소득 수준이 낮은 가구 우선
    2. 신청일이 빠른 순
    3. 혼인신고일이 빠른 순

     


     

    놓치기 쉬운 유의사항

     

     

    • 지원은 생애 단 1회만 가능하므로, 재혼이더라도 기존에 한 번 받은 적이 있다면 신청이 불가합니다.
    • 사실혼 부부, 부부 모두 외국인인 경우는 지원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 스튜디오/드레스/메이크업 비용은 지원 항목에 포함되지 않음을 꼭 기억하세요.

     


     

    예비 신혼부부를 위한 현실 팁

     

    1. 혼수 쇼핑 시 영수증과 내역서를 꼭 챙겨두세요.
      신청 시점에 갑자기 찾으려면 이미 유효기간이 지난 경우가 많습니다.
    2. 예식장 예약 전, 지원 가능한 항목인지 확인하세요.
      서울시 공공예식장 '더 아름다운 결혼식'과 중복 지원되지 않는 점 유의!
    3. 소득 증빙 서류는 미리 발급받아 확인해보세요.
      국세청에서 소득금액증명원을 미리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4. 부부 중 한 명이라도 서울시 180일 이상 거주요건이 필요합니다.
      꼭 거주 기간을 확인하고 신청하세요.

     


     

    마무리하며: 서울시의 실질적 결혼 장려책

     

     

     

    서울시의 이번 신혼부부 결혼·살림비용 지원 정책은 단순한 복지가 아닙니다.
    결혼을 고민하는 청년들에게 “서울시가 함께 응원하겠다”는 실질적인 메시지이자 장려책입니다.

    예비 신혼부부라면 이번 기회를 통해 경제적인 부담을 조금이나마 덜고, 사랑하는 사람과 더 여유롭게 새로운 출발을 하시길 바랍니다.

    지금 바로 서울시 몽땅정보 만능키 사이트를 확인해보세요.
    이제 결혼, 조금은 가볍게 시작해도 되지 않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