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을 문턱, 서울 청년을 위한 마지막 기회!
2025 서울시 청년 마음건강 지원사업 4차 모집 소식
가을이 시작되는 이 시기, 괜스레 마음이 무겁고 이유 없는 불안에 시달리는 분들 많으시죠?
특히 학업, 취업, 인간관계, 경제적 어려움까지 겹치는 청년 시기에는 마음이 지치기 쉽습니다.
서울시는 이런 현실을 잘 알고, 청년들의 심리적 회복과 자기 성장을 돕기 위해 ‘청년 마음건강 지원사업’을 운영 중입니다.이번 모집은 2025년 4차, 올해 마지막 기회입니다.
서울 거주 청년이라면 꼭 한 번 참여를 고려해 보시길 추천드려요.
청년 마음건강 지원사업이란?
서울시가 운영하는 청년 마음건강 지원사업은 단순한 상담을 넘어, 과학적 검사와 맞춤형 관리까지 포함된 종합 심리지원 프로그램입니다.
✅ 대상: 만 19세~39세 서울 거주 청년
✅ 모집 인원: 2,500명
✅ 신청 기간: 2025년 9월 4일 오전 10시 ~ 9월 11일 오후 5시
✅ 신청 방법: 온라인 ‘청년몽땅정보통’ 포털특히 군 복무를 마친 청년은 복무 기간만큼 신청 가능 나이가 연장되어 최대 42세(1982년생)까지 지원할 수 있습니다.
어떤 지원을 받을 수 있을까?
단순히 심리검사만 받고 끝나는 게 아닙니다.
선정된 청년들은 본인의 심리 상태를 객관적으로 확인한 후, 결과에 맞춰 전문 심리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기본 6회기(회당 50분) 1:1 심층 상담
- 필요 시 추가 4회기, 총 10회기까지 가능
- 대면 상담 + 온라인 화상 상담 병행 지원
즉, 학업·취업 준비·가족돌봄 등으로 바빠서 시간을 내기 어려운 청년도 온라인을 통해 꾸준히 상담을 이어갈 수 있습니다.
단순 상담 그 이상, 사후관리 프로그램
상담이 끝나면 그냥 끝나는 것이 아닙니다.
청년 개인의 상황과 니즈에 따라, 서울시는 다양한 사후관리 프로그램을 제공합니다.- 정원산책, 숲 요가 같은 서울형 정원처방
- 또래 청년들과 고민을 나누는 집단상담
- 11월 개최 예정 청년 마음 토크콘서트
- 직업적 성장을 위한 멘토링 프로그램
예를 들어 9월에는 아모레퍼시픽 현직자와 함께하는 ‘공감식탁 프로그램’이 진행되고, 10월에는 기업 방문과 선배 멘토링을 받을 수 있는 멘토링데이가 열립니다.
이처럼 단순히 마음 건강을 챙기는 차원을 넘어, 청년들의 삶 전반을 지원하는 정책과 연결된다는 점이 큰 장점입니다.
왜 지금이 마지막 기회일까?
이번 4차 모집은 올해 마지막입니다.
한 번 신청하지 않으면 내년까지 기다려야 하기 때문에, 현재 마음이 무겁거나 심리적 지지가 필요하다면 이번 기회를 놓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또한 선착순 개념이 있어 조기마감될 수 있다는 점도 유의하세요.
서울시에 거주 중인 청년이라면 지금 바로 ‘청년몽땅정보통’을 확인해 보는 게 현명합니다.
신청 방법 한눈에 정리
1️⃣ 신청 기간: 9월 4일(목) 오전 10시 ~ 9월 11일(목) 오후 5시
2️⃣ 신청 방법: 청년몽땅정보통 홈페이지 온라인 신청
3️⃣ 결과 발표: 9월 12일 오후 5시, 마이페이지에서 확인
4️⃣ 문의: 다산콜센터 02-120
이런 분들에게 추천합니다
- 취업 준비로 스트레스가 심한 청년
- 이유 없이 불안감이나 외로움이 큰 청년
- 자기 이해를 통해 삶의 방향을 찾고 싶은 청년
- 대화할 상대가 없어 마음을 털어놓고 싶은 청년
“마음 건강은 사치가 아니라 필수입니다.”
청년 시절의 불안과 고민은 누구나 겪는 자연스러운 과정이지만, 혼자 감당하기엔 너무 벅찰 때가 많습니다.
이럴 때 전문적인 상담과 프로그램이 큰 힘이 될 수 있습니다.
서울시가 청년을 위해 준비한 마음백신
서울시는 단순히 정책을 발표하는 수준에서 그치지 않고, 실제로 청년 한 명 한 명의 마음을 보듬고 있습니다.
이 사업은 단기적인 지원이 아니라, 장기적으로도 청년들이 스스로 회복할 수 있는 힘을 길러주는 ‘마음 백신’과 같은 존재라고 할 수 있습니다.다가오는 가을, 마음이 괜히 무겁게 느껴진다면 이번 기회에 서울시가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통해 자신을 돌보는 시간을 가져보시길 바랍니다.
마무리
2025년 서울시 청년 마음건강 지원사업 4차 모집은 청년들의 마음 회복을 위한 소중한 기회입니다.
심리상담, 사후관리, 멘토링까지 이어지는 이 프로그램은 단순한 상담이 아니라, 청년들의 삶 전체를 건강하게 만드는 종합 지원 패키지라고 할 수 있습니다.
서울 청년이라면 이번 마지막 기회를 꼭 놓치지 마세요.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 요금 복지 할인 제도 신청 대상 및 신청방법, 감면금액의 모든 것 (1) 2025.08.28 2025 F1 메르세데스 쇼런 예매방법과 예매 실패해도 볼 수 있는 방법까지! (2) 2025.08.27 아빠 보너스제, 일반 육아휴직과 동일한 급여 (3) 2025.08.25 서울야외도서관 2025 가을 개장: 세계인과 함께 즐기는 책과 문화 (1) 2025.08.24 2025 서울 지하철 모바일 스탬프투어|참여 방법·코스·기념품 총정리 (0) 2025.08.24